운문과 산문

임어당 <나의 명상록>

미송 2009. 4. 7. 18:07

 

나의 명상록 / 임어당

 

 

조오지 황제의 기도문

 

 

 

영국의 조오지 5세는 그의 침실에 한폭의 기도문을 걸어 놓았다. 나는 이 기도문의 내용에서 곧 영국인의 성격을 알아낼 수 있었다. 기도문의 내용은 이러하다. "주여, 나로 하여금 행사의 규칙에 복종하게 하소서. 주여, 나로 하여금 '정서'와 '과잉감정'을 바로 판단하여 취사선택케 하소서. 주여, 나로 하여금 남의 칭송을 받아 분별없이 들뜨게 하지 마시고 또 가볍게 남을 칭찬하지도 말게 하소서. 만약에 고난을 당했을 때, 주여, 나로 하여금 선한 짐승과 동행하게 할지언정 무인지경에 가서 홀로 곤욕을 참게 하지는 마옵소서. 만약 내가 승리를 얻어야 한다면, 주여, 나로 하여금 꼭 승리를 하게 하여 주시고 패하여 굶주리지 않게 하소서. 주여, 나로 하여금 과거를 회상케 하지 마시고 또 공연히 눈물을 흘리지 말게 하소서." 이것이 바로 영국황제의 한 가닥 심경이다.

 

만약 중국에 국왕이 있다면 틀림없이 이를 이상하게 여길 것이다. 조오지 5세는 매일밤 이렇게 기도했을까에 대하여 더 묻지 않아도 잘 알 것이다. 버나드쇼오가 말했듯이, 영국 사람이 조오지 5세를 경애하는 이유는 그가 현대의 도덕을 갖춘 군자파의 대표적 인물이며, 남과 교제하기를 좋아하기는 하나 그것이 지식과 도덕면에서 과대망상하는 것은 아니었기 때문이다. 영국의 조오지 5세는 이 기도문이 보여주는 바와 같은 정서를 좋아했기 때문에 기도문을 정중히 걸어 놓고 밤마다 중얼거리며 기도했을 것이다.

 

이 짤막한 기도문이야말로 영국사람의 특성을 잘 나타낸 것이며, 공정무사하여 어떤 감정이나 내재의 힘에 편중한 것이 아니다. 그러나 이같은 잠언이나 격언 따위가 중국 사람의 생리에 맞지 않는 까닭은, 중국 군왕의 좌우명은 영국의 황제가 기도문을 외는 심경과는 전혀 다르기 때문이다. 중국의 군왕은 첫째로 <복종>이란 두 글자를 보면 그 뜻을 이해하지 못한 채로 덮어두고 다시 읽으려고도 하지 않는다. 통치자가 '행사의 규칙'을 소홀히 할 바가 아님을 해석하기에 장황한 시간을 보낼까 두려울 뿐이다.
 

그에게 '정서'와 '과잉감정'의 구별에 대하여 입이 닳도록 설명했댔자, 그는 알 리가 만무하므로 차라리 설명하지 않는 것이 묘방이겠다. 당신이, "사람의 칭송을 함부로 받지말라"는 말의 뜻을 해석하려 한다면 그는 도리어 한스럽게 생각할 것이다. 그리고 그는 당신에게 도로 묻기를 "왜 그렇게 하지 말라는 말이오?" 할 터이니 당신은 이에 대한 대답을 해 낼 길이 없어서 원문의 뜻을 아래와 같이 고쳐 그의 뜻에 적합하도록 할 것이다.  


"만약 내가 고난을 당하게 되면 나는 곧, 요도가 불통하니 양위하고 은퇴하겠다고 할 것이다. 만약 내가 승리를 하게 되면, 주여! 나로 하여금 승리를 하게 하시고 만약 승리를 못하게 되면, 주여! 나로 하여금 적당한 시기에 외국 조계지로 피신해서 고서를 읽게 해 주소서. 주여, 나로 하여금 과거를 회상케 말고, 헛되이 눈물을 흘리지 말게 하소서. 그러나 그러지 못할 때에는 나로 하여금 이렇게 노래부르게 하소서, <아들이 있으면 만사가 족하고 무관하면 몸이 가볍다>라고."
 

사회학자들은 우리들에게 알려 준다-각국에는 같지 않은 풍속이 있다고. 때문에 각국의 성공의 길은 이로 인하여 달라지는 것이다. 영국황제 침실의 기도문을 중국의 집권자가 본다면, 이는 완전히 무용한 것이며 중국 국왕의 좌우명이 될 수 없는 것이라고 할 것이다. 만약 비굴한 수단으로 정권을 쟁취한 이탈리아의 마키아벨리(Machiavelli 1469- 1527)가 이때 출생했다면 중국의 국왕을 대신하여, 일편의 좌우명을 쓸 것이다. 그 취지는 아래와 같을 것이다.

 

"주여, 나로 하여금 왕후의 생신과 왕후 모친의 생신을 기억케 하소서. 주여, 나로 하여금 많은 중요한 예물을 그에게 보내되 장수하라는 국수사리만은 보내지 말게 하소서. 주여, 나로 하여금 인정 관계는 모두 정치적 도구이며 나와 다른 사람과의 관계는 국가를 위주로 하도록 인식시켜 주소서. 주여, 나로 하여금 소박하게 하고 거동을 적당케 하며 다른 어떤 사람에게든지 불법한 접촉을 말게 하소서. 주여, 나로 하여금 임기응변의 다재로 만나는 사람에게 도를 말하여 모든 사람이 나를 호인이라고 말할 수 있게 하소서. 주여, 나로 하여금 외국 친구에게 예절바르게 대하게 하고 나로 하여금 강인한 사람이 되어 인민의 항의에 굴하지 않게 하소서. 주여, 나로 하여금 학생의 유흥과 파업풍조에 대처하는 데 용감케 하소서. 주여, 나로 하여금 강연을 잘하게 하소서. 주여, 나로 하여금 서법에 능케 하소서. 주여, 나로 하여금 혀끝을 날카롭게 하여 말끝에 꽃을 피워 주소서. 주여, 나로 하여금 주고받는 것을 골고루하여 굳이 촉수의 예물을 거절케 말고 답례로 예물을 보내는 데 인색케 마소서. 주여, 나로 하여금 인생이란 곧잘 사라지며 빗줄기가 얽힌 듯한 것임을 알게 하소서. 주여, 나로 하여금 유우머 감을 갖게 하고 나로 하여금 정치생활의 허식을 인식하여 어떠한 진실을 등진 일에든지 관계하지 말게 하소서. 주여, 나로 하여금 동료의 경망스런 잘못을 관용케 해 주소서, 나의 동료가 나의 잘못을 용서해주듯이. 주여, 나로 하여금 뭇사람의 이목의 감시를 받지 않게 해 주시고 무슨 일이 발생하든지 함부로 쉽게 다른 사람의 소견에 쏠리지 말게 하소서."

 

 

 

역자 경력: 1912년 간도명동 출생. 유호활엽 일본국 명치학원대학 영문과, 일본대학 법문학부, 미국 프리스턴 대학원 영문과 졸업.

영문학 및 중국문학전공. 문학박사. 명예 철학박사. 명치학원대학 및 일본대학강사, 고등고시위원 10차 역임. 현 경희대학교 교수
저서 '인생과 문학'. '행복은 너의 것'. '지금 너 있는 곳'. '내일은 어디 있는가'. '19세기의 동서문학'. '아름다운 인간상'. '현대중국문학사'

시집: '무화과'. '하늘은 안다'
역서: '기독교의 유물사관'. '한국은 세계의 잠을 깨웠다'. '임어당 전집'. '논어'. '장자'. '한비자' '순자'

'운문과 산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륭 <구름에 관한 몇 가지 오해>   (0) 2009.04.18
김선태<조장(鳥葬)>   (0) 2009.04.17
임어당<꿈에 대하여>  (0) 2009.04.07
임어당<짜라투스트라>  (0) 2009.04.07
하루키<4월의 어느 해맑은 아침>  (0) 2009.0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