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세의 수채화
전혜린
내가 좋아하는 그림에 작은 엽서형의 수채화가 한 장 있다. 얼마 전에 85세로 작고한 헤르만 헤세가 그린 그림이다. 푸른 나무가 한 그루 서 있고 풀이 엷게 바람에 나부끼는 하안의 언덕, 멀리 보이는 산줄기, 한가운데 파랗게 괴어 있는 호수, 그리고 흰 구름이 화면의 반 이상을 차지하는 공간에 한 덩이 떠 있을 뿐이다. 색도 극단적으로 수수하게 눌러서 마치 동양화를 보는 느낌을 준다. 바람에 하늘거리고 있는 한 포기씩 섬세하게 그린 풀줄기도, 또 소나무를 얼핏 연상시키는 나무도 너무나 동양적이고 무상감에 가득 차 있는 것 같다.
수십 년 동안 헤세는 스위스의 몬타뇰라에서 살았다. 루가노호와 먼 알프스 산줄기를 바라보면서 화초를 가꾸고 작품을 쓰고 애독자의 편지에 답장을 쓰고(내가 입수한 그림엽서도 그 중의 하나다) 전쟁을 경고하고, 그리고 수채화를 그렸다. 이 수채화는 인쇄되어서 독일 시중에서 판매되고도 있으나 헤세는 그것을 모르는 애독자나 동료 작가들로 뜻을 같이한 사람들에게 선사하기를 더 즐긴 것 같다.
이 고담한 그림과 함께 마음속으로부터의 감사를 보냅니다. -헤르만 헤세
라는 친필적을 보면 어느 작품에서보다도 더 생생하고 따뜻하게 헤세의 사람됨이 느껴지는 것 같다.
이 작은 그림은 그만큼 헤세를 말해 주고 있다. 흰 구름(거의 안 보이게 엷게 암시되어 있는)은 언제나 헤세의 크나큰 사랑의 대상이었다. 구름은 인식을 얻을 수 없었던 헤세의 생활이나 사상의 방랑의 상징이었고 어린 시절의 애인 엘리자베드의 상징이기도 했다.
▶ 헤세의 수채화
누구나 젊은 시절에 한번은 외웠을 그의 시 '흰 구름이 높은 하늘에 떠 있듯이 희고 아름답고 먼 엘리자베드'는 너무도 유명한 그의 시구다.
이 그림의 구름을 보면 언제나 엘리자베드가 생각난다.
멀리 암시되어 있는 알프스 산은 그가 봉우리 꼭대기에 올라가서 소년 시절에 요들을 불렀다는 펜타카멘친트가 생각난다. 풀밭이 너무 섬세하긴 하나
문득 슈터펜볼프를 연상시키고 루가노호는 그가 이 지방의 풍물을 넣어서 쓴 작품(클링조르의 마지막 여름), 이 그리고 <로즈할데>가 생각난다. 그림 전체를 가득 채우고 있는 '무'와 '공'을 견디어 나가려는 듯 꿋꿋하게 서 있는 나무는 <데미안>, <싯타르타>, <나르시스>, <마기스타크네히트> 등의 구도자 헤세를 보는 것만 같다.
에세이<그리고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2005, 민서출판> 166~168쪽.
벤(Benn)의 시 '여행' 이 생각납니다. 문득.
"당신은 취리히는 뭐 특별한 도시인 줄 아십니까?' 로 시작되고, '5번 가에서도 공허는 닥쳐오는 법' 그리고
'아, 여행이란 헛된 것, 너무 늦게야 우리는 그것을 인식한다' 로 끝나는....
떠나겠다는 것. 그러나 떠나겠다는 의욕만으로 누구보다도 행복한 생을 마친 노수부도 있지 않을까요.
그는 꿈을 먹고 산 것입니다. 빵 대신에. p 367
'운문과 산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형도<밤눈>外 (0) | 2012.12.08 |
---|---|
문훈숙<고맙다, 2분> (0) | 2012.12.05 |
박정대<오드리라는 대기 불안정과 그밖의 슬픈 기상 현상들>外 1편 (0) | 2012.11.29 |
김기택<나는 그들에게 무엇을 가르칠 수 있나> (0) | 2012.11.26 |
이수익<야간열차> (0) | 2012.1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