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리수 그늘에서
우리는 누군가의 생(生)을 잇고 있으며 또 누군가의 생으로 이어집니다.
불교 4대성지 중에서 가장 마음에 드는 곳은 싯달타가 깨달음을 얻은 부다가야의 보리수입니다. 그의 탄생지인 룸비니 언덕의 아침 해도 좋고, 최초의 설법지인 사르나트의 잔디밭도 좋고, 그가 열반에 든 쿠시나가르의 와불(臥佛)도 우리에게 많은 것을 생각케 하는 성지임에 틀림없습니다. 그러나 나는 그 중에서도 보리수 나무의 그늘과, 차거운 대리석 바닥과 시원한 바람이 더 좋습니다. 오늘은 보리수 그늘에서 엽서를 띄웁니다.
보리수의 넓고 깊은 그늘은 먼저 땀에 젖은 이마를 식혀줍니다. 머리에서 얼굴로 그리고 어깨, 가슴으로 내려오는 서늘함과 밑으로부터 맨발을 타고 오르는 대리석 바닥의 차가운 감촉이 가슴짬에서 만나 마치 분수처럼 온몸으로 퍼져나갑니다. 나는 붓다의 깨달음이 어떠한 것인지 알지 못합니다만 서늘한 보리수 그늘에서 분수처럼 전신을 적셔주는 시원함은 붓다의 깨달음과 상관없이 인도가 안겨준 그 복잡하고 어지러운 나의 심신을 씻어줍니다.
구도(求道)의 고행(苦行)을 거듭하던 싯달타는 이곳 부다가야의 니르자니강에 빠져 지친 몸을 일으키지 못합니다. 마침 지나가던 마을처녀 스타자가 공양하는 '젖죽'을 먹고 기력을 회복하게 됩니다. 그리고 이제까지의 고행을 통한 구도의 방식을 버리고 강물에 몸을 씻은 다음 이 보리수 나무아래로 오게 됩니다. '처녀의 젖죽'이 쳐녀가 만든 '죽'이었건, 아니면 마을 아주머니가 공양한 '젖'이었건 그것은 시비의 대상이 못된다고 생각합니다.
석가의 깨달음에 한 그릇의 젖죽이 갖는 의미는 결코 작은 것이 아니었으리라고 생각됩니다. 꺼질듯한 등잔불이 한 방울의 기름을 받아 다시 몸을 일으켜 세우듯 한 그릇의 죽이 싯달타에게 열어준 정신의 명징(明澄)함은 결코 보리수 그늘에 못지 않은 것이었으리라고 짐작됩니다. 어쨋든 이곳은 왕자의 자리를 버리고 스스로 병들고 굶주린 사람들 속으로 걸어온 그 혹독한 고행의 끝이었습니다.
이곳 마하보디사원에는 탑돌이를 하는 사람, 보리수 나무에 머리를 기대고 있는 사람, 가부좌로 명상에 잠긴 사람들로 줄을 잇고 있습니다. 나도 보리수 그늘의 한자락을 얻어 지친 여정을 잠시 쉬어가기로 하였습니다. 이 보리수 나무는 물론 석가당시의 나무가 아닙니다. 씨를 받아 이어오기 어느덧 4대째가 되는 112살의 젊은 보리수입니다. 나는 불교의 그 깊은 교리나 힌두사상의 심오한 인간존재의 비경 (秘境)을 더듬어 본 적이 없습니다.
그러나 오늘 이 젊은 보리수 밑에서는 나도 다른 사람들처럼 나의 생각을 들여다 보게 됩니다. 인간은 어디서 와서 어디로 가는 것인가. 나는 이승과 저승의 윤회(輪廻)에 대한 믿음을 갖고 있는가. 맨발로 보리수 그늘에 앉아서 간추려 보는 생각이 유별난 감회에 젖게 합니다. 내게는 윤회에 대한 믿음은 없지만 이 젊은 보리수가 이곳에서 대를 이어 오듯이 이승에서의 윤회는 수긍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우리는 어린 손자의 모습에서 문득 그 할아버지의 모습을 발견하고 놀라기도 합니다. 그리고 그 어린 손자를 통하여 할아버지가 계승되고 있음을 느낍니다. 비단 혈연을 통한 계승뿐만이 아니라 사제(師弟), 붕우(朋友) 등 우리가 맺고 있는 인간관계를 통하여 우리의 존재가 윤회하고 있다는 생각을 합니다. 나의 존재는 누군가의 생을 잇고 있으며 또 누군가의 생으로 이어지고 있음에 틀림없습니다. 이승에서 저승으로 이어지는 윤회에 대해서는 알지 못하지만 마치 이 보리수처럼 이승에서 이어지는 윤회는 믿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리고 한 사람 한 사람이 개별적인 존재로 윤회할 뿐 아니라 사회라는 집합체도 윤회한다는 생각이 듭니다. 수 많은 사람들이 만다라처럼 얽히고 설킨 인연으로 사회를 만들고 그 사회는 다시 다음 사회로 이 어지는 사회적 윤회를 하고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이를테면 '존재'(存在)의 윤회가 아니라 '관계'(關係)의 윤회입니다. 자녀에게, 벗에게, 그리고 후인들에게 좀 더 나은 자기가 계승되기를 원하고 있으며 그러한 모든 사람들로 이루어지는 사회가 좀 더 나은 세상으로 윤회되기를 원하고 있음에 틀림없습니다. 그러한 의미의 윤회를 불가(佛家)에서 윤회라 부르지 않을 것이 분명하지만 적어도 나의 생각을 윤회라는 그릇에 담아보면 그런 것이 되리라는 생각입니다.
나는 모처럼 신발 속에서 풀려나와 차거운 대리석 바닥에 누워있는 발을 내려다 보았습니다. 몸의 무게로부터 해방된 발이 무척 행복해 보였습니다. 문득 오늘 내가 걸어간 발자국이 후인들의 이정표(里程標)가 되리라며 스스로의 행보를 자계(自戒)하던 고승(高僧)의 싯귀가 생각납니다. 머리보다는 발이 먼저 깨닫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머리가 윤회되는 것이기보다 발 (行蹟)이 윤회된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인도의 빛'을 찾기 위하여 벌써 여섯달째 인도를 여행하고 있다는 젊은이를 만났습니다. 그리고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순수한 의미의 개인이 과연 존재하는 것인가. 사회역사적인 관련을 개인이라는 단독자로 환원하여 윤회라는 무궁한 시공(時空)속으로 던져서 해소시켜버리는 해탈 (解脫)의 철학은 무엇인가. 그것은 혹시 기존의 모든 삶의 부조리를 통째로 승인하는 것은 아닐까. 그리고 그러한 철학 속에는 이승에 태어나 이승을 살아가고 있는 모든 생명에 대한 경외 (敬畏)까지 방기해버리는 위험은 없지 않은가. 나는 궁극적 본질을 찾아서 구도의 여행을 하고 있는 그와의 대화가 어려웠습니다.
깨달음이란 어느 순간에 섬광(閃光)처럼 오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전하기가 어려웠습니다. 나는 그의 수첩에 '성공은 과정(過程)'(Success is not a destination but a journey)이라고 적어 주었습니다. 우리는 지도를 펴고 석가의 편력을 연필로 그려보았습니다. 석가의 세계는 인도동북부의 매우 협소한 지역을 벗어나지 않고 있었습니다. 세계는 그 넓이로서 세계가 되는 것이 아님을 알 수 있습니다. 더구나 '하는 일' 없이 '보는 일'만으로 얻을 수 있는 것은 별로 많지 않습니다. 바깥으로 향하는 모든 시선을 거두어 오로지 안으로만 동공(瞳孔)을 열어 두는 사색이 포괄할 수 있는 영역은 그리 넓은 것이 될 수 없습니다. 우리의 깨달음은 결국은 각자의 삶과 각자의 일 속에서 길어올려야 할 것입니다. 그나마도 단 한 번의 깨달음으로 얻을 수 있다는 결연(決然) 함도 버려야 할 것입니다. 모든 깨달음은 오늘의 깨달음 위에 다시 내일의 깨달음을 쌓아감으로써 깨달음 그 자체를 부단히 높여나가는 과정의 총체일 뿐이리라 믿습니다.
그래도 궁극적인 존재에 대한 고뇌가 남는다면 최후로 인도를 다시 찾아올 필요가 있을지 모릅니다. 그러나 인도가 도달하고 있는 '힌두의 세계'는 인도의 척박한 땅과 숨막히는 계급사회 를 살아가는 인도인들의 지혜이고 해석이라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할 것입니다. 당신이 인도에 오면 수 많은 성자(聖者)들을 만나게 될 것입니다. 성자가 없는 사회도 좋은 사회라 할 수 없지만 성자가 많은 사회도 결코 행복한 사회는 아닌 법입니다. 내가 당신에게 인도를 적어보낼 수는 없습니다. 다만 인도를 끝내기 전에 한 번쯤은 이 보리수를 찾기 바란다는 말을 전할 뿐입니다. 뜨거운 염천을 끊어주는 이 보리수 그늘에 앉아 보기를 권할 뿐입니다. 그러면 당신은 두 가지를 발견하게 될 것입니다. 한 가지는 이승에서 윤회를 거듭하고 있는 젊은 보리수입니다. 그리고 또 하나는 신발에서 풀려나와 대리석 바닥의 한기를 밟고 있는 당신의 두 발입니다. 발이 먼저 깨닫고, 발이 윤회되고 있음을 발견하게 될 것입니다.
- 신영복의 '더불어 숲' 중에서 -
'운문과 산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박제영<詩집 밖의 詩人들은 얼마나 詩답잖은지> (0) | 2009.07.14 |
---|---|
안톤 슈낙 <내가 사랑하는 소음, 음향, 음성들> (0) | 2009.07.13 |
문정희<화살 노래> 외 3편 (0) | 2009.07.13 |
이상 <석유 등잔을 켜 놓고> (0) | 2009.07.12 |
차주일< 2호차 두 번째 입구 옆자리> (0) | 2009.07.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