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식 간언의 5대 법칙
군주의 과오를 알면서도 간언을 게을리하는 것은 신하된 의무를 다하지 않는 불충으로 평가되고 있었다. 그러나 군주에게 세번 간하면 군주가 간언을 받아들이든 받아들이지 않든 간에, 그것으로 신하의 의무는 벗어난다는 것이 중국의 예였다.
그러면 세 번 간해도 군주가 받아들이지 않을 경우 왜 도주하는가? 그것은 간언을 받아들이지 않은 군주 밑에 있어 보아야 자신의 몸이 위태롭기 때문이다. 이런 점도 참으로 중국적인 사고방식이다.
상대인 군주가 어떤 인물됨됨이를 가진 사람인가에 의해 달라지기도 하지만, 간언에는 신병의 위험이 따르기 마련이다. 위험을 피하려면 그에 상응한 연구를 하지 않으면 안 된다. (공자가어)에 의하면 간언에는 다음의 5종류가 있다고 한다.
1)휼간(譎諫) -- 넌지시 비치어 완곡하게 말을 하여 얼버무린다.
2)당간(戇諫) -- 말을 꾸미지 않고 고지식하게 말하며 간한다.
3)항간(降諫) -- 겸손한 태도로 간한다.
4)직간(直諫) -- 정면에서 곧이곧대로 간한다.
5)풍간(諷諫) -- 말을 멀리 돌려서 완곡하게 간한다.
공자는 이 중에서 풍간이 가장 좋다고 평가하고 있다. 말할 것도 없이 신변의 위험을 피할 수 있는 가능성이 가장 높기 때문이다. 군주라고 해서 모두가 간언을 기꺼이 듣는 인물일 수는 없다. 오히려 그렇지 않은 군주가 훨씬 많았다. 그렇기 때문에 간언하는 쪽에서는 이렇게 그 방법을 연구할 정도로 신중함이 요청되는 것이다.
이상은 종적인 군신 관계에 있어서의 주의사항이지만 횡적인 친구관계에 있어서도 크게 다를 바는 없을 것이다. 공자도 이렇게 말하고 있다.
"상대가 잘못을 저질렀을 때에는 성의를 가지고 충고하는 것이 좋다. 그래도 안 되면 잠시 상황을 지켜보라. 너무 집요하게 굴면 본인이 싫은 생각만 하게 되므로 효과가 없다."
사람을 꾸짖을 때도 너무 엄한 태도로 해서는 안된다. 상대가 받아들일 수 있는 한도를 알아두어야 한다. 사람을 가르칠 때도 너무 많은 것을 기대해서는 안된다. 상대가 실행할 수 있는 범위내에서 만족해야 한다. - 채근담(菜根譚)
- 세상에서 가장 여유로운 중국인의 지혜 (백양출판사) 중에서
타이핑, 채란
'철학과 신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트겐슈타인과 용수 (0) | 2011.05.03 |
---|---|
노자의 '天地不仁' (0) | 2011.04.23 |
논리학의 오류들 (0) | 2011.04.15 |
노자 제2장 (0) | 2011.04.04 |
노자 제1장 (0) | 2011.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