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문과 산문

이용악<낡은 집>

미송 2009. 5. 17. 19:58

낡은 집/ 이용악

 

 

날로 밤으로

왕거미 줄치기에 분주한 집

마을서 흉집이라고 꺼리는 낡은 집,

이 집에 살았다는 백성들은

대대 손손에 물려줄

은동곳도 산호관자도 갖지 못했니라.

 

재를 넘어 무곳을 다니던 당나귀

항구로 가는 콩시리에 늙은 둥글소

모두 없어진지 오랜

외양깐엔 아직 초라한 내음새 그윽하다만

털보네 간 곳은 아모도 모른다.

 

찻길이 뇌이기 전

노루 멧돼지 쪽제비 이런 것들이

앞뒤 산을 마음 놓고 뛰여다니던 시절

털보의 셋째 아들은

나의 싸릿말 동무는

이집 안방 짓두광주리 옆에서

첫 울음을 울었다고 한다.

 

'털보네는 또 아들을 봤다우

송아지래두 붙었으면 팔아나 먹지'

마을 아낙네들은 무심코

차그운 이야기를 가을 냇물에 실어보냈다는

그날밤

저릎등이 시름시름 타들어가고

소주에 취한 털보의 눈도 일층 붉더란다.

 

갓주지 이야기와

무서운 전설 가운데서 가난 속에서

나의 동무는 늘 마음 조리며 자랐다.

당나귀 몰고간 애비 돌아오지 않는 밤

노랑 고양이 울어 울어

종시 잠 이루지 못하는 밤이면

어미 분주히 일하는 방앗간 한 구석에서

나의 동무는

도토리의 꿈을 키웠다.

 

그가 아홉살 되든 해

사냥개 꿩을 쫓아다니는 겨울

이 집에 살던 일곱 식솔이

어대론지 살아지고 이튼날 아침

북쪽 향한 발자옥만 눈 우에 떨고 있었다.

더러는 오랑캐령 쪽으로 갔으리라고

더러는 아라사로 갔으리라고

이웃 늙은이들은

모두 무서운 곳을 짚었다.

 

지금은 아무도 살지 않는 집

마을서 흉집이라고 꺼리는 낡은 집

제철마다 먹음직한 열매

탐스럽게 열던 살구

살구나무도 글거리만 남았길래

꽃피는 철이 와도 가도 뒤 울안에 

꿀벌 하나 날아들지 않는다. 

 

 

짓두광주리 : 바늘, 실 따위의 바느질 제구를 담는 반짇고리, 바느질고리의 함경도 방언

저릎등 : 삼베의 껍질을 벗긴 거죽에 말린 쇠똥을 붙여 켜는 등불, 석유가 보급되기 전 함경도 산간지방에서 많이 켜던 등불이다.

둥글소 : 황소, 다 자란 소.

싸리말 : 싸리비. 함경도 지방에서는 아이들이 이 싸리비를 말 삼아 타고 다니는 놀이를 하였음

갓주지 : 갓을 쓴 절의 주지, 아이를 달래거나 울음을 그치게 할 때 갓주지에 관한 이야기를 한다고 함.

글거리 : 그루터기 풀이나 나무 또는 곡식 따위를 베고 남은 밑둥.

 

 

 

'운문과 산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은<삶>  (0) 2009.05.19
박목월<회수>  (0) 2009.05.19
서정주<화사>  (0) 2009.05.16
김현승<밤은 영양이 풍부하다>  (0) 2009.05.16
주요한<불놀이>  (0) 2009.05.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