낡은 집- 이용악
날로 밤으로
왕거미 줄치기에 분주한 집
마을서 흉집이라고 꺼리는 낡은 집,
이 집에 살았다는 백성들은
대대 손손에 물려줄
은동곳도 산호관자도 갖지 못했니라.
재를 넘어 무곡을 다니던 당나귀
항구로 가는 콩시리에 늙은 둥글소
모두 없어진지 오랜
외양깐엔 아직 초라한 내음새 그윽하다만
털보네 간 곳은 아모도 모른다.
찻길이 뇌이기 전
노루 멧돼지 쪽제비 이런 것들이
앞뒤 산을 마음 놓고 뛰여다니던 시절
털보네 셋째 아들은 나의 싸릿말 동무는
이집 안방 짓두광주리 옆에서
첫 울음을 울었다고 한다.
'털보네는 또 아들을 봤다우
송아지래두 불었으면 팔아나 먹지'
마을 아낙네들은 무심코
차그운 이야기를 가을 냇물에 실어보냈다는
그날밤
저릎등이 시름시름 타들어가고
소주에 취한 털보의 눈도 일층 붉더란다.
갓주지 이야기와
무서운 전설 가운데서 가난 속에서
나의 동무는 늘 마음 조리며 자랐다.
당나귀 몰고간 에비 돌아오지 않는 밤
노랑 고양이 울어 울어
종시 잠 이루지 못하는 밤이며
어미 분주히 일하는 방앗간 구석에서
나의 동무는
도토리의 꿈을 키웠다
그가 아홉살 되든 해
사냥개 꿩을 쫒아다니는 겨울
이 집에 살던 일곱 식솔이
어대론지 살아지고 이튼날 아침
북쪽 향한 발자옥만 눈 우에 떨고 있었다.
더러는 오랑캐령 쪽으로 갔으리라고
더러는 아라사로 갔으리라고
이웃 늙은이들은
모두 무서운 곳을 짚었다.
지금은 아무도 살지 않는 집
마을서 흉집이라고 꺼리는 낡은 집
제철마다 먹음직한 열매
탐스럽게 열던 살구
살구나무도 글거리만 남았길래
꽃피는 철이 와도 가도 뒤 울안에
꿀벌 하나 날아들지 않는다.
* 짓두광주리 : 바늘, 실 따위의 바느질 제구를 담는 반짇고리. 바느질고리의 함경도 방언.
* 저릎등 : 삼베의 껍질을 벗긴 속대 거죽에 말린 쇠똥을 붙여 켜는 등불, 석유가 보급 되기전 함경도 산간지방 에서 많이 켜던 등불이다.
* 둥글소 : 황소, 다 자란 소.
* 싸리말 : 싸리비, 함경도 지방에서는 아이들이 이 싸리비를 말 삼아 타고 다니는 놀이를 하였음.
* 갓부지 : 갓을 쓴 절의 주지. 아이를 달래거나 울음을 그치게 할 때 갓주지에 관한 이야기를 한다고 함.
* 글거리 : 그루터기 풀이나 나무 또는 곡식 따위를 베고 남은 밑둥.
1
문학이 삶의 반영이라 할 때 직접적으로든, 간접적으로든 혹은 순기능적으로든, 역기능적으로든 하나의 문학작품 속에 작가의 인생이나 성장환경이 개입되는 것은 자연스럽다. 이 용악 역시 마찬가지다. 그의 시에는 북방 변경 지방의 삶이 다양하게 반영되어 있는데 이는 그가 함북 경성에서 태어나 일본에 유학(東京의 上智大學 신문학과 1934-1938) 가기 전까지 그곳에서 성장하였던 것과 무관치 않다. 우리 문학에서는 아직 향토문학이라는 개념이 논의된 바 없으나 그러한 의미에서 이용악이 같은 고장의 출신인 그의 선배 김동환과 더불어 북방의 정서를 대표하는 시인의 하나라는 사실만큼은 의심의 여지가 없을 것이다. 이제 그의 시의 향토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먼저 그의 성장지인 경성에 대하여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경성군청 소재지이며 북으로 나남(羅南) 4킬로, 남으로 주을(朱乙) 4킬로, 시가지의 남쪽 작은 평야를 냇물이 흐르고 서남, 서북에 나직한 산과 아득한 서쪽에 해발 2천 5백 미터의 관모연령(冠帽連嶺)이 사철 백설로 빛나고 동으로 2킬로 푸른 동해가 웅얼거린다. 시가지를 둘러싸고 옛날(1436, 세종8년) 함경도 200진(鎭)을 통수한 병마절도사를 두었던 성곽 곧 치성성지(稚城城趾)가 있고 여진을 몰아낸(1107)윤관 장군을 기리는 원수대, 공자묘, 관해사 등 명승고적이 산재. 인구 약 2만 5천, 시가지는 성내, 남문밖, 서문거리 3구로 형성, 성내는 특색 있는 기와집들의 구시가로 군청, 읍사무소 등 관청, 초등학교와 예배당, 청년회관 등 교육 문화시설이 있고 남문밖은 상업구로 항시 활기찬 시장이 섬, (이 상업구를 벗어난 남쪽 끝에 이용악, 유정(柳呈) 두 시인의 집이 있었다 함 필자 주) 성밖 서북 변두리에 서울과 두만강변을 있는 함경선의 경성역이 있고....
이와 같은 그의 성장환경은 <낡은 집>에서도 드러나 있다.
첫째 시의 배경이다. 가령 7연의 '더러는 오랑캐령 쪽으로 갔으리라고/ 더러는 아라사로 갔으리라고/ 이웃 늙은이들은/ 모두 무서운 곳을 짚었다.'의 시랭이 암시하고 있는 바는 주인공 털보의 고향이 북방 변경 즉 러시아와의 접경지역임을 말해준다.
둘째 삶의 유산이다. 이 시에는 고난과 천대를 받아왔던 북녘지방의 역사성이 간접적으로 묘사되어 있다. 예컨대 1연에서 '이 집에 살았다는 백성들은 대대 손손에 물려 줄/은동곳도 산호관자도 갖지 못했니라'는 이 지역 사람들이 동곳(상투를 짠 뒤에 풀어지지 않도록 은으로 만들어 꽂는 물건)과 산호관자 신분을 상징적으로 나타내는 물건들이기 때문이다.
셋째 삶의 상황이다. 이 시는 30년대 말 논토를 잃고 가난을 이기지 못해 중국의 간도로 혹은 러시아의 연해주로 유이민을 떠나는 농민의 이야기를 담고 있는데 아무래도 이는 북방 변경지역과 같은 곳에서 보다 친숙한 소재일 것이다. 물론 당대 우리 유이민을 국토의 전반에서 광범위하게 일어나고 있었던 현상이지만 대체로 그 목적지가 중국의 간도나 러시아의 연해주여서 지리적으로는 결국 북방 국경지역을 통과하게 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실제로 당시 유이민이 많았던 지역은 간도, 러시아와의 접경을 이루는 두만상 연변이었다.
넷째 향토성이다. 이 시는 추운 겨울의 눈내리는 산하를 배경으로 하여 쓰여지고 있다. 여기에는 사냥개를 동원한 꿩 사냥, 저릎들이 시름시름 타 들어가는 겨울밤의 풀경, 노루 멧돼지 쪽제비 등 산짐승에 대한 추억 등의 묘사가 부연된다. 물론 이와같은 것은 전체 내용을 이루고 있는 궁벽한 농촌 삶('항구로 가는 콩실이에 늙은 둥글소/ 모두 없어진지 오랜/ 외양깐엔 아직 초라한 내음새 그윽하다만' '나의 싸릿말 동무는/ 이 집 안방 짓두광주리 옆에서/ 첫 울음을 울었다고 한다.' '당나귀 몰고간 애비는 돌아오지 않는 밤/ 노랑 고양이 울어 울어/ 종시 잠 이루지 못하는 밤이면/ 어미 분주히 일하는 방앗간 한 구석에서/ 나의 동무는 도토리의 꿈을 키웠다.')과 더불어 꼭 북쪽 변경지역에서만 있을 수 있는 소재라고 말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러나 이 역시 아무래도 북쪽 정서에 맞는 것이라고 말해야 자연스럽다. 그것은 봄이나 초록이 남쪽과 관련되는 것과 대조해서 겨울이나 설경은 북쪽에 관련되기 때문이다. 거기에는 어딘가 거칠고 남성적이고 스산한 삶의 모습들이 점묘되어 있는데 그것은 부드럽고 섬세한 남쪽의 여성적 정서와 다르다.
다섯째 시어에서 구사되는 함북 지방의 방언이다. 예컨대 '둥글소'(숫소), '싸릿말'(싸리로 걸어 만든 작은 말, 마마에 걸리 지 열이틀되는 날 역신을 내어 쫓을 때 쓴다 함, 그러나 이 시에서는 죽마(竹馬)의 뜻으로 사용되고 있음. 대나무가 없는 북쪽에서는 싸리로 비를 만들기 때문에 '싸리말 동무'란 죽마지우(竹馬之友)의 뜻), '짓두광주리', '차그운'(차거운), '저릎등'(겨릅등, 겨릅이란 껍질을 벗긴 삼 대로서 마른 삼대를 묶어 태워 밝히는 불). '글거리' 등이 이와같은 제 특징으로 인해 풍기는 이 시의 분위기는 한마디로 북방 변경의 향토성이다. 그것은 자연환경으로서는 거칠고 삭막하며 역사적으로는 대대로 소외되고 차별 대우를 받아온 지역에서 땅을 일구며 궁핍하게 생존해온 서민들의 모습이라 할 수 있다. 그것은 시대나 역사에 대한 일종의 민중적인 한의 이야기이며, 어둡고 우울하고 불안하고 불확실한 삶의 풍경이다.
<낡은 집>은 시인이 자란 이와같은 역사적, 자연적 배경에서 식민지치하의 우리 농민 삶을 여실하게 그려 보여준 작품이라고 말할 수 있다.
2
화자는 '낡은 집'에 얽힌 이야기를 담담히 진술한다. 그가 사는 북방 변경의 한 소외된 마을에는 언제부터인가 사람이 살지 않아 버려진 낡은 집 한채가 있었다. 원래 '털보' 라 불리는 사람의 일곱 식솔이 살았던, 그러나 그들 식솔이 어디로인가 떠난 후 지금은 폐가가 되어버린 집이었다. 왕거미가 줄을 치고 뜰이 나무들도 시들어 앙상하기만 한, 이 반나마 허물어진 집을 동네 사람들은 일컬어 '흉가' 혹은 흉집'이라 했고 모두 돌보거나 찾기를 꺼려하였다.
털보네 셋째 아들은 화자의 '싸릿말 동무'(싸릿대로 만든 비를 말타고 놀던 어린 시절의 친구) 였다. 털보네는 가난했으므로 그 친구는 태어날 때부터 주위의 축복을 받기는커녕 오히려 냉대를 받았다. 궁핍한 살림에 양식 걱정거리가 하나 더 늘었기 때문이다.
동네 아주머니들은 그의 탄생을 차라리 송아지의 그것보다도 못하다 했고 아버지인 털보는 양육 걱정 때문에 밤새 소주를 마시며 삶을 한탄해야 했다. 그러나 친구는 가난과 천대 속에서도 나름대로 꿈을 키우며 자랐다. 할머니에게서 절의 갓을 쓴 주지('갓주지')에 대한 이야기와 무서운 전설을 듣는 것은 그가 유년 시절에 경험한 단 하나의 기쁨이었으나 어쩌면 내용 속의 불안하고 무서운 상황은 그가 직면한 현실과 유사한 것이었을지도 몰랐다. 당나귀를 몰고 일을 나간 아버지가 늦도록 돌아오지 않는 밤에는 어머니가 분주히 일하는 방앗간 한 구석에서 뜬 눈으로 지새기도 하였다.
그러나 털보네 일곱 식솔에게 몰아 닥친 이 궁핍한 상황은 세월이 갈수록 악화되기만 하였다. 그러던 중 눈이 몹시 내린 겨울의 추운 어느날 아침이었다. 동네 사람들은 털보네 일곱 식솔이 밤새 어디론가 떠나버리고 집이 텅 비어 있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 북쪽으로 향한 눈길 위에는 그 식솔들이 밟고 갔으리라고 짐작되는 어지러운 발자국들만이 스산하게 남겨져 ㅇㅆ었다. 동네에서는 이 털보네 식솔들이 혹은 북쪽의 국경을 넘어 만주의 오랑캐령 쪽으로 갔을 것이라는, 혹은 러시아 쪽으로 갔을 것이라는 소문만이 떠돌 뿐이었다. 친구가 아홉살 되던 해 겨울의 일이었다. 텅 빈 채 흉가가 되어버린 털보네 옛 집은 이제 뜰의 나무들조차 죽어 앙상하고 자풀만 무성하게 우거져 지난 일을 증언하고 있을 따름이다. 매년 탐스럽게 과일을 맺던 살구나무 역시 이제는 꽃도 피우지를 않았다. 꿀벌하나 날아들지 않았다.
이상은 (낡은 집)에서 화자가 이야기한 바를 간단히 정리한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여기서 한가지 주목해야 될 부분이 있다. 미록 지역적으로 천대를 받고 누대로부터 가난을 면치 못했다 하더라도 이 땅에 살아왔던 사람들은 아직까지 그 누구도 자신의 삶의 터전을 버리지는 않았는데 왜 이 시점에서 털보네 식솔과 같은 비극적 유이민이 생기게 되었는가 하는 점이다. 이에 대한 해답은 30년대 한국의 식민지 현실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이 시의 소위 외적 증거와 내적 증거에서 설명될 수 있다.
우선 이 작품이 일제 식민지 수탈이 절정에 다다른 시기 그러니까 1938년에 쓰여졌다는 사실은 중요한 외적 증거가 된다. 물론 문학의 본질이 상상력에 있다고 할 때 모든 작품이 맹목적으로 당대의 현실을 소재화한다고 말할 수는 없다. 그러나 이 경우는 다르다. 앞장에서 살핀 바와같이 이 작품은 시인 자신의 성장환경이 직접 반영되어 있으므로 시인이 시작에 임하면서 그 성장환경이나 언어 등만을 전기적인 사실에서 취재하고 유독 시대 상황만 예외로 했다는 추측은 부자연스럽기 때문이다.
그러나 보다 주목할 것은 작품 자체가 내포하고 있는 내적 증거이다. 우리는 이 시를 읽을 때 주인공 털보의 유이민이 일제의 착취에서 비롯했다는 것을 시본문의 내용에서 직접적으로 대면하게 된다. 첫째 제 2연의 다음과 같은 시행이다. '재를 넘어 무곡을 다니던 당나귀/ 항구로 가는 콩시리에 늙은 둥글소/ 모두 없어진지 오래'. 여기서 항구로 콩을 실어가는 데 동원된 털보네 당나귀와 소라는 진술은 일제의 곡물 수탈을 문자 그대로 언급한 대목이라 할 수 있다. 30년대 한국의 항구에서 식량 수탈을 위한 일제의 곡식 반출은 배를 이용한 수송 이외는 없었기 때문이다. 시의 내용으로 보자면 일제는 이에 그치지 않고 식량 반출의 보조 수단이었던 소나 당나귀조차도 빼앗아가는 만행을 저지를 것으로 묘사되어 있다. 이는 당대 한국 농촌의 궁핍상이 극에 다다랐다는 것을 암시래준다. 둘째 7연의 내용이다. 털보네가 유민 생활로 떠나간 곳에 대해 동네 노인들은 오랑캐령이나 러시아 땅일 것이라고 추측한다. 그런데 주지하다시피 역사상 한국인들이 만주의 간도나 러시아의 연해주 등지로 유이민을 떠났던 것은 조선조 말이나 일제의 식민지기간 이외에는 없었다. 따라서 이 시가 1938년에 쓰여진 것을 감안할 경우, 이 시행은 일제의 억압과 착취에서 기인된 동 시대의 역사적 사실 즉 한국 농민의 유이민 현상에 대한 고발이라고 말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평론과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책 사는 손 - 예쁜 손, 고운 손 (0) | 2009.09.10 |
---|---|
오세영<한국현대시 분석적 읽기- 낡은 집> (0) | 2009.07.01 |
오세영<한국 현대시 분석적 읽기- 오감도> (0) | 2009.06.28 |
오세영<한국 현대시 분석적 읽기, 오감도> (0) | 2009.05.28 |
노무현 대통령 각하, 천국에서 평안하십시오 (0) | 2009.05.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