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견의 기쁨

금강반야바라밀경

미송 2022. 6. 9. 12:07

 

 

제1. 법회가 열린 인연

 

이와 같이 내가 들었다. 어느 때 부처님께서 사위국 기수급고독원에서 큰 비구 천 이백오십인과 함께 계시었다.

그때 세존께서 진지드실 때가 되었으므로 가사를 입으시고 바루를 가지시고 사위성에 들어 가시와 차례로 밥을 비시었다. 그리고 본곳으로 돌아 오시어 공양을 마치신 뒤 가사와 바루를 거두시고 발을 씻으신 다음 자리를 펴고 앉으셨다.

 

 

제2. 선현이 법을 청하다

 

그때 장로 수보리가 대중 가운데 계시다가 곧 자리에서 일어나 웃옷을 바른쪽 어깨에 벗어 메고 바른쪽 무릎을 땅에 꿇고 합장공경하면서 부처님께 사뢰었다.

회유하시옵니다. 여래께서는 모든 보살들을 잘 보살펴 주시고 모든 보살들에게 잘 당부하시옵니다.

세존이시여 선남자 선녀인의 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을 일으킨 이는 깨달은 마음을 어떻게 머물며 번뇌의 마음을 어떻게 항복받아야 하겠나이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갸륵하고 갸륵하도다. 수보리야 너의 말과 같이 여래가 모든 보살을 잘 보살피고 잘 당부하느니라. 너희는 이제 자세히 들으라, 이제 마땅히 너희들을 위하여 연설하리라.

선남자 선녀인이 아녹다라삼먁삼보리심을 일으킨 이는 마땅히 깨달은 마음을 이와 같이 머물고 그 번뇌의 마음을 이와 같이 항복받을지니라.

그러하옵니다. 세존이시여 바라옵건대 듣고자 하나이다.

 

 

제3. 대승의 바른 종지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셨다.

모든 보살마하살은 마땅히 이와 같이 그 번뇌의 마음을 항복시킬 것이니라. 무릇 있는 바 모든 중생의 종류인 알로 생기는 것, 태로 생기는 것, 습기로 생기는 것, 화하여 생기는 것, 형상 있는 것, 형상 없는 것, 생각 있는 것, 생각 없는 것, 생각이 있는 것도 아니고, 없는 것도 아닌 것들을 내가 모두 다 교화하여 해탈의 열반에 들게 하여 제도하리라 하라.

이렇게 하여 한량없이 많은 중생들을 다 제도하지만 실로 한 중생도 제도된 바가 없느니라.

왜냐하면 수보리야, 보살이 나라는 생각 남이라는 생각 중생이라는 생각 오래 산다는 생각이 있으면 이는 곧 보살이 아니기 때문이니라.

 

 

제4. 머무름 없는 묘행

 

또 수보리야, 보살은 마땅히 어떤 법에도 머문 바 없이 보시를 행할 것이니, 이른바 형상에 머물지 말고 보시할 것이며, 소리, 냄새, 맛, 닿이는 것과 온갖 법에 머물지 말고 보시해야 하느니라.

수보리야, 보살이 마땅히 이렇게 보시하여 현상에 머물지 말 것이니 왜 그러냐 하면 만일 보살이 현상에 머물지 않고 보시하면 그 복덕은 가히 생각으로 헤아릴 수 없느니라.

수보리야,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동쪽 허공을 생각으로 다 헤아려 알 수 있느냐.

할 수 없나이다. 세존이시여.

수보리야 남서북방과 네 간방과 아래 위 허공을 가히 생각으로 헤아려 알 수 있겠느냐.

할 수 없나이다. 세존이시여.

 

수보리야, 보살이 현상에 머물지 않고 보시하는 복덕도 또한 이와 같아서 생각으로 헤아려 알 수 없이 많으니라. 수보리야, 보살은 다만 마땅히 가르친 바와 같이 머물지니라.

 

 

제5. 실다운 진리를 보라

 

수보리야,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육신의 몸매로써 여래를 볼 수 있겠느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육신의 몸매로써 여래를 볼 수 없사옵니다. 왜냐 하오면 여래께서 몸매라고 말씀하신 것은 몸매가 아니옵니다.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셨다. 무릇 있는 바 모든 현상은 다 이것이 허망하니 만약 모든 현상이 진실상이 아닌 줄을 보면 곧 여래를 보느니라.

 

 

제6. 말세의 바른 신심 회유하다

 

수보리가 부처님께 사뢰었다.

세존이시여, 어떤 중생이 이와 같은 말씀이나 글귀를 듣고 실다운 신심을 낼 수 있겠나이까.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셨다.

그런 말은 하지 말라. 여래가 가신지 이천 오백년 뒤에도 계를 받아 지니고 복을 닦는 자가 있어서 능히 이와 같은 말과 글귀에 신심을 내어 이것을 진실하게 여기리라.

 

마땅히 알라. 이 사람은 한 부처님이나 두 부처님이나 셋 넷 다섯 부처님께만 착한 마음의 바탕을 튼튼히 심었을 뿐만 아니라, 이미 한량없는 천만 부처님의 처소에서 거룩한 마음의 바탕을 튼튼히 한 사람이니, 이 글귀를 듣고 한 생각에 거룩한 믿음을 내느니라.

수보리야, 여래는 이 모든 중생들이 이와 같이 한량없는 복덕을 얻는 것을 다 알고 다 보느니라. 왜 그러냐 하면 이 모든 중생들은 다시는 나라는 생각 남이라는 생각 중생이라는 생각 오래 산다는 생각이 없으며, 진리라는 생각도 없고, 그릇된 법이라는 생각도 없기 때문이니라.

 

왜냐하면 이 모든 중생이 만일 마음에 어떤 상을 취하면 곧 나라는 생각, 남이라는 생각, 중생이라는 생각, 오래 산다는 생각에 집착하게 되는 때문이니, 왜냐하면 만일 진리란 생각을 취하여도 나라는 생각 남이라는 생각 중생이라는 생각 오래 산다는 생각에 걸리게 되며, 그릇된 법이란 생각을 취하여도 곧 나라는 생각 남이라는 생각 중생이라는 생각 오래 산다는 생각에 걸리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바른 진리를 지키지도 말고 그릇된 법을 지키지도 말 것이니, 그렇게 때문에 부처님이 항상 말씀하시기를, 너희들 비구는 내가 말한 바 법이 뗏목과 같은 줄을 알라 하였으니 진리도 오히려 놓아 버려야 하거늘 하물며 그릇된 법이랴.

 

 

제7. 얻을 것도 설할 것도 없다

 

수보리야,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여래가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었느냐. 또 여래가 말한 바 법이 있느냐.

 

수보리가 사뢰었다.

제가 아옵기는 부처님께서 말씀하신 뜻은 결정된 진리가 있어서 그것을 아뇩다라삼먁삼보리라 하시는 것이아니오며, 또한 결정된 내용이 없는 진리를 여래께서 말씀해 주셨나이다. 왜 그러냐 하오면 여래께서 말씀하신 진리는 취할 수도 없고 말할 수도 없고, 진리도 아니고, 진리 아닌 것도 아니기 때문이옵니다.

 

왜 그러냐 하오면 모든 깨달은 현인과 성인은 상대의 세계를 뛰어난 무위의 절대법 가운데 차별이 있기 때문이옵니다.

 

 

제8. 모든 것 진리로부터 나오다

 

수보리야,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만약 어떤 사람이 삼천대천세계에 가득한 칠보를 가지고 널리 보시했다면 이 사람이 얻는 복덕이 얼마나 많겠느냐.

수보리가 사뢰었다.

아주 많사옵니다. 세존이시여, 왜냐 하오면 이 복덕은 본체적인 마음의 복덕성이 아니기 때문이오니 그러므로 여래께서 복덕이 많다고 말씀하신 것이 옵니다.

만일 어떤 사람이 이 경 가운데에 네 글귀만이라도 받아 지니고 남을 위해 말해 주었다면 그 복이 다른 복덕보다 더 뛰어나리라.

 

왜냐하면 수보리야, 모든 부처님의 아녹다라삼먁삼보리법이 다 이 경으로부터 나온 때문이니라. 이른바 불법이란 곧 불법이 아니니라.

 

 

제9. 절대의 법은 존재가 아니다.

 

수보리야,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수다원이 생각하기를 내가 수다원과를 얻었노라 하겠느냐. 수보리가 사뢰었다.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왜냐 하오면 수다원은 이름이 성인의 흐름에 들어있다는 말이오나 실은 들어간 것이 아니옵고, 현상이나 소리 냄새 맛 촉감이나 어떤 진리에 들어간 것이 아니온데 이름을 수다원이라 하였을 뿐이기 때문이옵니다.

 

수보리야,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사다함이 생각하기를 내가 사다함과를 얻었노라 하겠느냐.

 

수보리가 사뢰었다.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왜냐 하오면 사다함은 이름이 한번 갔다 온다는 말이오나 실은 가고 온다는 생각이 없는 것을 사다함이라 이름하였을 뿐이기 때문이옵니다.

수보리야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아나함이 생각하기를 내가 아나함과를 얻었노라 하겠느냐.

수보리가 사뢰었다.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왜냐 하오면 아나함은 이름이 오지 않는다는 말이오나 실은 오지 않는다는 생각이 없는 것을 아나함이라 이름하였을 뿐이기 때문이옵니다.

 

수보리야,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아라한이 생각하기를 내가 아라한도를 얻었노라 하겠느냐. 수보리가 사뢰었다.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왜냐 하오면 실로 이것이 진리라고할 내용이 없는 것을 이름하여 아라한이라 했을 뿐이기 때문이옵니다. 세존이시여 만일 아라한이 생각하기를 내가 아라한도를 얻었노라 하오면 이는 곧 나라는 생각 남이라는 생각 오래 산다는 생각에 집착하는 것이옵니다.

 

세존이시여, 부처님께서 저를 다툼이 없는 삼매를 얻은 사람가운데서 제일 으뜸이라 말씀하셨사오니, 이는 욕심을 여윈 첫째 가는 아라한이란 말씀이오나 세존이시여, 저는 욕심을 여윈 아라함이라는 생각을 하지 않사옵니다. 세존이시여, 제가 만약 내가 아라한도를 얻었다고 생각한다면 세존께서는 곧 수보리에게 아란나행을 즐기는 자 라고 말씀하시지 아니하셨을 것이온데, 수보리가 실로 아란나행을 한다는 생각이 없기 때문에 수보리가 아란나행을 좋아하는 자라고 이름하셨사옵니다.

 

 

제10. 정토를 장엄하다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셨다.

수보리야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여래가 옛적에 연등부처님 처소에서 어떤 진리를 얻은 바가 있었느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 연등부처님 처소에 계실 적에 어떤 진리를 얻으신 바가 없사옵니다.

수보리야,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보살이 불국토를 장엄한다고 하겠느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왜냐하오면 보살이 불국토를 장엄하는 것은 장엄함이 아니오며, 그 이름이 장엄일 뿐이기 때문이옵니다.

그러므로 수보리야, 모든 보살마하살은 마땅히 이와같이 청정한 마음을 낼지니라. 마땅히 형상에 머물지 말고 마음을 낼 것이며, 마땅히 소리와 냄새, 맞부딪침과 어떤 법에 머물러서 마음을 내지 아니하고 응당 머문바 없이 그 마음을 낼지니라.

수보리야, 비유컨대 만일 어떤 사람의 몸이 큰 수미산만하다면 네 생각에 어떠하냐, 그 몸을 크다고 하겠느냐.

수보리가 사뢰었다.

아주 크옵니다. 세존이시여, 왜냐 하오면 부처님께서는 몸 아닌 것을 가리켜서 큰 몸이라 이름하셨기 때문이옵니다.

 

 

제11. 절대한 큰 복덕

 

수보리야, 항하에 있는 모래 수처럼 그렇게 많은 항하가 있다면 네 생각이 어떠하냐. 그 모든 항하 가운데 있는 모래가 얼마나 많겠느냐.

수보리가 사뢰었다. 아주 많사옵니다. 세존이시여, 저 모든 항하의 수만 하여도 한없이 많을 것이온데 하물며 그 가운데 있는 모래이겠나이까.

수보리야, 내가 이제 진실한 말로 너에게 이르노니, 만약 선남자 선녀인이 있어 저 항하의 모래 수처럼 많은 삼천대천세계에 가득한 칠보를 가지고 널리 보시했다면 그 얻는 복이 얼마나 많겠느냐. 수보리가 사뢰었다. 심히 많사옵니다. 세존이시여.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셨다.

만약 선남자 선녀인이 이 경 가운데서 네 글귀만이라도 받아 지니고 남을 위해 말해 준다면 그 복덕이 앞에서 말한 복덕보다 더 없이 뛰어나리라.

 

                                                                              정암사 수마노탑 모형

 

 

 

제12 바른 교법을 존경하라

 

또 수보리야, 이 경 가운데 네 글귀만이라도 그 뜻을 일러준다면 마땅히 알라. 이 곳은 일체세간의 하늘과 사람과 아수라가 다 마땅히 공양하기를 부처님의 탑과 절에 하듯이 할 것이어늘 하물며 어떤 사람이 이 경을 능히 다 받아 지니고 읽고 외움이겠느냐.

수보리야, 마땅히 알라. 이 사람은 가장 높고, 제일 가는 희유한 진리를 성취한 것이니라.

만일 이 경전이 있는 곳이면 부처님이 계신곳과 같고 존경받는 부처님의 제자가 있는 것과 같으니라.

 

 

제13. 법답게 받아 지니라

 

그때에 수보리가 부처님께 사뢰었다.

세존이시여, 마땅히 이 경을 무어라 이름하오며 저희들이 어떻게 받들어 지녀야 하겠나이까.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셨다.

이 경 이름이 금강반야바라밀이니 이렇게 너희들이 마땅히 받들어 지니라.

왜냐하면 여래가 말한 반야바라밀이란 곧 반야바라밀이 아니라 그 이름이 반야바라밀일 뿐이기 때문이니라. 수보리야,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여래가 어떤 진리를 말한 바가 있는 것이냐. 수보리가 부처님께 사뢰었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는 말씀하신 바가 없사옵니다.

수보리야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삼천대천세계에 있는 모든 먼지의 수를 많다고 하겠느냐.

수보리가 사뢰었다.

아주 많사옵니다 세존이시여.

수보리야, 이 모든 먼지를 여래는 먼지가 아니라고 말하나니 이것은 이름이 먼지일 뿐이며, 여래가 말하는 세계 또한 그것이 세계가 아니고 그 이름이 세계일 따름이니라.

수보리야, 네 생각에 어떠하냐. 가히 서른 두 가지 거룩한 몸매(三十二相)로써 여래를 볼 수 있겠느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서른 두가지 거룩한 몸매로서는 여래를 뵈올 수 없사옵니다. 왜 그러냐 하오면 여래께서 말씀하신 서른 두가지 거룩한 몸매는 곧 몸매(相)가 아니옵고 그 이름이 몸매이기 때문이옵니다.

 

수보리야, 만약 어떤 선남자 선녀인이 항하의 모래 수와 같은 목숨을 바쳐 널리 보시한 사람이 있고, 또 어떤 사람이 이 경 가운데 내지 네 글귀만이라도 받아 지녀서 남을 위해 설명해 주었다면 그 복이 앞의 복보다 심히 많으니라.

 

 

제14. 상을 여윈 적멸

 

그때 수보리가 이 경 말씀하심을 듣고 그 뜻을 깊이 깨달아 알고 눈물을 흘리고 슬피 울며 부처님께 사뢰었다.

참으로 회유하시옵니다. 세존이시여, 부처님께서 이와 같이 심히 깊은 경전을 말씀하시오니, 제가 옛적 전생으로 오면서 닦아 얻은바 지혜의 눈으로는 일찍이 이와 같은 경을 얻어 듣지 못하였나이다.

 

세존이시여, 만일 어떤 사람이 이 경을 얻어 듣고 신심이 청정하면 곧 실다운 진리의 경계가 생길 것이오니, 이 사람은 마땅히 제일 희유한 공덕을 성취한 것임을 알겠나이다. 세존이시여, 이 실다운 진리의 경계라는 것은 곧 어떤 현상이나 관념으로서가 아니오니 그러므로 여래께서 실다운 진리의 경계라고 이름하셨나이다.

그러하온데 세존이시여, 제가 이와같은 경전을 얻어 듣고 믿어 알고 받아 지니는 것은 어렵지 않사오나, 만일 이 다음세상 이천오백년 뒤에 어떤 중생이 이 경을 얻어 듣고 믿어 이해하여 받아 지닌다면 그 사람이야 말로 참으로 제일 희유한 사람이겠나이다.

 

왜 그러냐 하오면 그 사람은 나라는 생각도 없고 남이라는 생각도 없사오며 중생이라는 생각도 없고 오래 산다는 생각도 없는 까닭이옵니다. 왜냐 하오면 나라는 생각이 곧 절대관념이 아니오며, 남이라는 생각과 중생이라는 생각과 오래 산다는 생각이 곧 절대관념이 아니기 때문이옵니다. 왜 그러냐 하오면 일체의 온갖 관념을 다 여윈 것을 부처라 이름하는 때문이옵니다.

그러하다 그러하다. 만약 다시 어떤 사람이 이 경을 듣고 놀라지 않고 겁내지 않으며, 두려워하지 않으면 마땅히 알라. 이 사람은 참으로 희유한 사람이니라. 왜 그러냐 하면 수보리야, 여래가 말한 제일 바라밀이 곧 제일바라밀이 아니고 그 이름이 제일바라밀일 뿐이기 때문이니라.

 

수보리야, 인욕바라밀도 인욕바라밀이 아니라 이름을 인욕바라밀이라 한다고 여래가 말하였느니라. 왜 그러냐 하면 수보리야, 내가 옛날 가리왕에게 몸을 베이고 찢기울 적에 내가 그 때에 나라는 생각이 없었으며, 남이라는 생각이 없었으며, 중생이라는 생각이 없었으며, 오래 산다는 생각이 없었기 때문이니, 내가 옛적에 마디마디 사지를 찢기고 끊길 그 때 만약 나에게 나라는 생각 남이라는 생각 중생이라는 생각 오래 산다는 생각이 있었다면 응당 성내고 원망하는 마음을 내었을 것이니라.

 

수보리야, 또 여래가 과거에 오백년 동안 인욕선인이 되었을 때를 생각하노니, 저 세상에서도 나라는 생각이 없었으며, 남이라는 생각도 없었으며, 중생이라는 생각도 없었으며, 오래 산다는 생각도 없었느니라.

그러므로 수보리야, 보살은 마땅히 일체의 관념을 여의어 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을 일으킬지니 형상에 끄달리지 말고, 마음을 내며 마땅히 소리 냄새 맛 닿는이 것과 어떤 법에도 끌달리지 말고 마음을 낼 것이며 마땅히 머무는 바 없이 마음을 낼 것이니라.

그러면 설사 마음에 머묾이 있어도 머무는 것이 아니니 그러므로 여래가 말하기를

보살은 마땅히 형상에 끄달리지 말고 보시하라고 하였느니라.

 

수보리야, 보살은 일체중생을 이롭게 하기 위해 응당 이와 같이 보시하나니, 여래가 말한 일체의 관념도 곧 관념이 아니며 일체중생이라 한 것도 곧 중생이 아니니라.

수보리야, 여래는 진리의 말을 하는 이며, 진실을 말하는 이며, 진여의 말을 하는 이며, 거짓말을 하지 않는 이며, 다른 말을 하지 않는 이니라.

수보리야, 여래가 얻은 바 진리는 이 법이 실다움도 없고 헛됨도 없느니라.

수보리야 보살이 만약 마음을 어떤 법에 머물러 보시하면 마치 사람이 어둠 가운데서 아무것도 볼 수 없는 것과 같고, 보살이 만약 마음을 어떤 법에 머물지 않고 보시하면 햇빛이 밝게 비칠 적에 밝은 눈으로 갖가지 온갖 물체를 분별해보는 것과 같으니라.

수보리야, 다음 세상에서 만약 어떤 선남자 선녀인이 능히 이 경을 받아 지니고 읽고 외우면 곧 여래가 불지혜(佛智慧)로 이 사람을 다 알며 이 사람을 다 보나니 모두가 헤아릴 수 없고 가 없는 공덕을 성취하게 되리라

 

 

제15. 경을 지니는 공덕

 

수보리야, 어떤 선남자 선녀인이 오전에 항하의 모래수와 같은 몸으로 보시하고 낮에 또 항하의 모래수와 같이 많은 몸으로 보시하며, 다시 저녁 때에 또한 항하의 모래수와 같은 몸으로 보시하여, 이와같이 한량없는 백천만억겁을 몸으로 보시하더라도 만일 다시 어떤 사람이 이 경전을 듣고 신심으로 거슬리지 아니하면 그 복이 저 보다 수승하리니, 어찌 하물며 이 경을 베끼고 받아 지니며 읽고 외우며 남을 위해 해설해줌이겠느냐.

 

수보리야, 요긴하게 말하면 이 경은 생각할 수도 없고 헤아릴 수도 없는 아주 한 없는 공덕이 있나니, 여래가 대승의 발심한 이를 위해 이 경을 말한 것이며 최상승의 발심한 이를 위해 이 경을 말하느니라.

 

만약 어떤 사람이 능히 이 경을 받아 지니고 읽고 외우며 사람들을 위해 널리 설명한다면 여래는 이 사람을 알고 모두 보나니, 이 사람을 헤아릴 수 없고 일컬을 수 없고 끝 없고 가히 생각해 볼수 없는 공덕을 성취하게 되리라.

 

이러한 사람들은 곧 여래의 아녹다라삼먁삼보리를 짋어진 것이 되나니, 왜 그러냐 하면 수보리야, 만일 소승의 법을 좋아하는 이는 나라는 생각 남이라는 생각 중생이라는 생각에 집착하여 이 경을 능히 알아 듣고 읽고 외워서 남을 위해 능히 해설하지 못할 것이기 때문이니라.

 

수보리야, 어떤 곳이든 이 경이 있는 곳이면 일체 세간의 하늘과 사람과 아수라가 응당 공양하는 바가 되리니, 마땅히 알라. 이곳은 곧 탑을 모신 곳이어서 모두가 응당 공경하고 절하며 에워 싸고 돌면서 가지 가지 꽃과 향을 그곳에 뿌리느니라.

 

 

제16. 업장을 깨끗이 맑힘

 

또 수보리야, 선남자 선녀인이 이 경을 받아 지니고 읽고 외우므로 만일 남에게 업신여김을 당한다면 이 사람은 전세의 죄업으로 마땅히 악한 세상에 떨어질 것이지만 금세에 남에게 업신여김을 받음으로써 곧 전세의 죄업이 소멸되어 마땅히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게 되느니라.

 

수보리야 내가 한량 없는 아승지겁전의 과거를 생각하노니, 연등부처님 앞에서 팔백사천만억나유타수의 모든 부처님을 만나 뵙고 다 공양하였으며 받들어 섬기어 헛되이 지냄이 없었느니라. 만약 다시 또 다른 어떤 사람이 앞으로 오는 말세에 능히 이 경을 받아 지니고 읽고 외우면 그 공덕은 내가 저 모든 부처님께 공양한 공덕으로는 백분의 일에 미치지 못하며 천만억분내지 어떤 수학의 비유로도 능히 미치지 못하느니라.

 

수보리야, 만일 선남자 선여인이 이 다음 말세에 이 경을 받아 지니어 독송하는 이가 얻는 공덕을 내가 다 갖추어 말한다면 어떤 사람은 그 말을 듣고 곧 마음이 산란하여 의심하며 믿지 아니하리라.

 

수보리야, 마땅히 알라. 이 경은 뜻도 가히 생각할 수 없고 그 과보 또한 헤아릴 수 없이 많으니라.

 

 

제17. 마침내 나는 없다.

 

그때 수보리가 부처님께 사뢰었다.

세존이시여 선남자 선녀인이 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을 일으킨 이는 마땅히 깨달은 마음을 어떻게 항복받아야 하나이까.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셨다.

만약 선남자 선녀인이 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을 일으킨 이는 마땅히 이와 같이 마음을 낼 것이니, 내가 마땅히 이와 같이 마음을 낼 것이니 내가 마땅히 일체 중생을 제도하리라. 그리하여 일체 중생을 다 제도하지만 실은 한 중생도 제도된 자가 없다 하라.

수보리야 왜냐하면 만약 보살이 나라는 생각 남이라는 생각 중생이라는 생각 오래 산다는 생각이 있으면 곧 보살이 아니기 때문이니, 수보리야, 그 까닭은 실로 어떤 진리가 있지 않은 경계에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일으킨 것이기 때문이니라.

 

수보리야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여래가 연등부처님 처소에서 얻을 만한 어떤 진리가 있어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었느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어, 제가 부처님께서 말씀하신 뜻을 아옵기로는 부처님께서 연등부처님 처소에 계시올 적에 어떤 진리가 있어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으신 것이 아니옵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그렇다 수보리야, 실로 어떤 진리가 있지 않은 경계에서 여래가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은 것이니라.

수보리야, 만약 어떤 진리가 있어서 여래가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었다면 연등부처님께서 나에게 네가 다음 세상에 마땅히 부처를 이루고 석가모니라 이름하리라. 라고 수기(授記)를 주시지 않으셨을 것이다.

실로 어떤 진리가 있지 않은 경계에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었기에 연등부처님께서 나에게 수기를 주시며 말씀하시기를 네가 이 다음 세상에 마땅히 부처를 이루나니 그 호를 석가모니라 하리라. 하셨느니라.

왜냐하면 여래라 함은 모든 법이 여여하여 같다는 뜻이기 때문이니, 그러므로 만약 어떤 사람이 여래가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었다 고 말하더라도 수보리야 부처님은 실로 어떤 진리가 있지 않은 경계에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은 것이니라.

수보리야, 여래가 얻은 아뇩다라삼먁삼보리 가운데는 실다움도 없고 헛됨도 없느니라.

그러므로 여래가 말하기를 일체법이 다 이 불법이니라 하느니라. 수보리야, 이른바 일체법이라 함은 곧 일체법이 아니니, 그러므로 그 이름이 일체법일 뿐이니라.

수보리야 비유컨대 사람의 몸이 아주 큰 것과 같으니라. 수보리가 사뢰었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 말씀하신 사람의 몸이 아주 크다는 것도 실은 큰 몸이 아니오니 그 이름이 큰 몸일 따름이옵니다.

 

수보리야, 보살도 또한 이와 같으니 만일 내가 한량 없이 많은 중생을 제도했다 고 말하는 이가 있다면 이는 곧 보살이라 이름할 수 없느니라. 왜 그러냐 하면, 수보리야, 실로 어떤 진리도 마음에 두지 않는 이를 보살이라 이름하기 때문이니라.

 

그러므로 여래가 말하기를 온갖 법이 나도 없고, 남도 없고 중생도 없고 오래 사는 것도 없다 고 하느니라.

수보리야, 만약 보살이 말하기를 내가 마땅히 불국토를 장엄하리라 한다면 이는 보살이라 이름할 수 없나니, 왜냐하면 여래가 말하는 불국토의 장엄은 곧 장엄이 아니라 그 이름이 장엄일 따름이기 때문이니라.

수보리야, 만약 보살이 나 없는 진리를 통달하였다면 여래가 이 사람을 참된 보살마하살이라 이름하리라.

 

타이핑 채란

 

 

 

'발견의 기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러브레터  (0) 2022.09.17
과거와 세상에 빚을 진 사람  (0) 2022.08.16
세바시- 이국종 교수   (0) 2017.11.17
깨어있는 시민의 조직된 힘  (0) 2016.11.20
성인ADHD  (0) 2016.1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