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퍼텍스트(Hypertext)
하이퍼텍스트라는 낱말은 철학자 테드 넬슨에 의해 처음으로 사용되었다.
인터넷과 결합하여 HTML의 주된 구성요소가 되었다. 기존의 문서가 순차적이면서 서열형 구조라면, 하이퍼텍스트는 링크에 따라 그 차례가 바뀌는 임의적이면서 나열형인 구조를 가진다. 이런 하이퍼텍스트의 등장은 검색엔진과 더불어 정보습득의 새로운 장을 인류에게 가져다 주었다. 또한 하이퍼 텍스트 문학이라는 새로운 예술장르를 탄생케 하였다.
[명사]<컴퓨터> 사용자가 비순차적인 검색을 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텍스트 문서 속의 특정 자료가 다른 자료나 데이터베이스와 연결되어 있어 서로 넘나들며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다.
하이퍼텍스트 문학
하이퍼텍스트 문학은 전자 문학(Electronic literature)의 한 장르로, 독자와의 상호작용과 비선형성을 위한 새로운 맥락을 제공하는 하이퍼 링크를 문학에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독자는 대체로 한 본문에서 다른 본문으로 이동하는 링크를 선택하고, 그렇게 하다보면 독자는 가능한 이야기의 여러 흐름들 중에서 하나의 이야기를 스스로 엮어 나가게 되는 것이다. 이스트게이스사의 스토리스페이스라는 글쓰기도구로 쓴 작품들이 유명하다.
하이퍼텍스트 소설 [ Hyper Text ]
하이퍼텍스트소설이란 인터넷의 웹 문서 형식(HTML)을 이용하여 만든 소설을 말한다. 존의 소설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위에서 아래로, 다 읽고 난 후에야 다음 페이지로 넘기는 방식을 통해 작가는 자신의 일관된 논리를 펼 수 있었다. 반면에 하이퍼 텍스트는 이 페이지에서 저 페이지로 마음대로 갈 수 있으므로 독자가 원하는 곳을 클릭해서 읽을 수 있다. 독자는 자신이 원하는 스토리를 다양하게 선택하여 이야기 만들기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소리·색·문자 등을 손쉽게 혼합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소설보다 훨씬 자연스럽게 영상과 소리, 문자가 어우러질 수 있다. 그러나 하이퍼 텍스트류의 소설들은 공식적인 등단 절차를 거치지 않고 독자의 인기에 따라 순위가 정해지기 때문에 기존 소설보다 질이 낮다는 비판이 제기되기도 한다.
'발견의 기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엣지있게 (0) | 2009.10.29 |
---|---|
[우리말 산책]김성동의 '고운매' (0) | 2009.10.18 |
[우리말 산책] 김성동의 '애잡짤하다' (0) | 2009.10.06 |
무라카미 하루키-빌리 홀리데이에게 바친다 (0) | 2009.09.24 |
정윤수<이상한 열매, 빌리 홀리데이> (0) | 2009.09.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