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낱같이 잘디잔 버드나무가
지붕 위 산 밑으로 보이는 객사에서
등잔을 등에 지고 누우니
무엇을 또 생각하여야 할 것이냐
나이는 늙을수록 생각만이 쌓이는 듯
그렇지 않으면 며칠 만에 한가한 시간을
얻은 것이 고마워서 그러는지
나는 조울히 드러누워
하나 원시적인 일로 흘러가는 마음을
자찬하고 싶다
김수영<그것을 위하여는> 도입부
시인 김수영(1921~1968)이 25~27살 무렵의 자신을 회고하는 내용으로 1954년에 쓴 산문이 발굴됐다. 문학계간지‘문학의 오늘’의 주간 방민호 서울대 국문학과 교수는 김수영이‘시인 김수영’이란 이름으로 1954년 문학잡지‘청춘 2월호’에 기고한 산문을 새롭게 발굴했다고 1일 밝혔다. 고서(古書)전문가 문승묵씨가 발굴한‘나와 가극단 여배우와의 사랑'이란 산문이다. 원고지 30~40장 안팎의 짧은 글로, 예술가로 살기 어려웠던 1946~1948년 20대 청춘의 방황 등을 보여 준다.
김수영은 산문에서 ‘(중략) 벌써 지금으로부터 6, 7년 전, 지향하고 있던 문학마저 깨끗이 걷어치우고 P를 따라다니며 소위 ‘간판쟁이’가 되려고 애를 쓰고 있었다. P는 일찍이 오소독시컬한 회화예술의 길을 포기하고, 자칭 ‘상업미술가’로서 백화점 선전부에 들어오는 포스터 주문을 거들어주거나 성냥 딱지에 붙이는 그림을 그리거나, 어쩌다 운이 좋아야 다방의 사인보드 같은 것을 맡아서 그것으로 입에 풀칠을 하여가는 가련하고 불쌍한 친구. (중략)’라고 서술해 나간다. 김수영은 또한 ‘화가 P가 ○○가극단의 이성숙이를 사랑하듯이, 자신도 어느 댄서 하나를 선택하겠다고 비장한 결심을 하고 장선방이라는 어깨와 허리가 고무풍선 같이 탄력이 있어 보이며, 검은 눈동자에 말할 수 없는 비애와 향수와 청춘이 교향악을 부르고 있는 열일곱에서 열아홉밖에는 되어 보이지 않는 아름다운 여자’와 결혼을 꿈꾸는 내용 등을 담았다.
유성호 한양대 국문과 교수는 “1946년 김수영은 집안 살림살이가 너무 어려워져 돈벌이가 된다면 일을 가리지 않고 할 때로, 주로 간판화 그리기와 통역 일을 했었는데, 이 산문에서 증언하는 간판쟁이 행적과 고스란히 일치한다.”면서 “화가 P는 본명이 박준경이고, 화명(畵名)이 박일영인 초현실주의 화가로, 김수영이 1960년대 중반 문학적 테마를 ‘양심’이나 ‘윤리’로 정향해 나갈 때 박일영에게 영향을 받았다.”고 말했다
시인 김수영 자전적 산문 발굴
여배우와 사랑 ‘나와 가극단… ’ 1954년 ‘청춘’2월호에 기고
*출처- 서울신문 2012.04.10
'운문과 산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류시화<소금>외 17편 (0) | 2012.04.25 |
---|---|
제인구달<희망의 밥상> (0) | 2012.04.23 |
최규승<처럼처럼> (0) | 2012.04.03 |
김경주 (0) | 2012.04.01 |
집에 관한 시 6편 (0) | 2012.04.01 |